하이퍼바이저(HyperVisor)와 가상화(Virtualization)

안녕하세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빅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등 4차 산업혁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할 중요한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와 가상화(Virtualization)에 대한 내용인데요.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전에 하이퍼바이저가 포함되는 개념인 가상화에 대해 먼저 알아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가상화(Virtualization)란? “가상화(Virtualization)”에 대해 이야기 하기 전에 “Virtual”라는 단어의 어원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구글에 검색할 경우 “사실상의”, … Read more

[CISSP – Domain 7] 근본 원인 분석(RCA, Root Cause Analysis)

CISSP Domain 7을 공부 중 입니다. 근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RCA)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근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RCA)이란? 발생한 침해사고(Incident)의 원인이 되는 중요한 취약점(Vulnerability) 또는 약점(Weakness)을 찾는 것을 시도하는 행위입니다. 만약 근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RCA)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동일한 원인에 의한 동일한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입니다. 만일 우리가 근본 원인 분석(Root Cause … Read more

[CISSP – Domain 4] 네트워크 루핑(Network Looping)

오늘은 CISSP의 Domain 4인 Communication & Networking 부분에서 네트워크 루핑(Network Looping)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아두면 좋은 배경지식   CSMA/CD CSMA/CD는 LAN 프로토콜 중 한 종류이며, Ethernet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CSMA/CD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tion의 줄임말로 해석하면 “알아서 눈치껏 통신하자”로 의역되는 프로토콜입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Ethernet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매체의 사용여부를 우선 감지한 뒤, 사용하지 않으면 프레임을 전송하게하는 … Read more

[CISSP – Domain 1]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CISSP Domain 1 을 공부하면서 기억에 남기고 싶은 내용 중 하나인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에 대해 포스팅합니다. Security Governance Principle Values What are our values? Ethics, Principles, Beliefs. Vision What do we aspire to be? Hope and Ambition. Mission Who do we do it. or? Motivation and Purpose. Strategic Objectives How are we going to progress? … Read more

[Amazon RDS – 1] Amazon RDS(Relational Database System)에 대해 알아보자(Aurora <-> RDS mysqldump 백업)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AWS 서비스로 찾아뵈었습니다. 오늘은 AWS의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중 하나인 Amazon RDS(Relational Database Syste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Oracle, MySQL이 대중적으로 사용되는만큼 AWS Database에서 데이터베이스 엔진들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RDS도 아주 많이사용되고 있습니다. RDS가 어떤 서비스인지, 사용사례는 어떤것이 있는지, 그리고 사용하면 유용한 옵션들도 함께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Amazon RDS란? Amazon RDS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는 … Read more

[정보관리기술사 129회 3교시 3번] 데이터 마이닝

## 이 글을 작성하는 지금 글 작성자는 3년차 주니어입니다. 정확한 정보가 아닐 수 있습니다. 정보관리기술사 129회 3교시 3번 문제입니다. 데이터 마이닝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데이터 마이닝과 통계의 차이점 데이터 마이닝 :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이나 짜임을 분석하여 가치있는 정보를 추출해내는 과정. 통계 : 집단에 대한 현상을 체계적인 숫자로 표현한 것. 데이터마이닝과 … Read more

AWS Lambda와 Serverless Architecture

안녕하세요. hyekihong입니다. 이전시간에는 Amazon SQS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시간에는 AWS Lambd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WS Lambda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혁신적인 개념인 서버리스 컴퓨팅을 실현하는 핵심 서비스입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서버 관리에 대한 부담을 덜고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는 AWS Lambda의 개념, 작동 원리, 개발과 배포,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구성, 모니터링과 로깅, 그리고 실제 사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Read more

Amazon SQS(Simple Queue Service) – 1편

안녕하세요. hyekihong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Amazon S3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Application 간의 통신 시 순간적인 traffic의 증가와 같은 어떠한 이유에 의해 우리의 클라우드 환경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현상을 방지해줄 수 있는 Amazon Web Service의 메시지 대기열 기반 서비스인 Amazon SQS(Simple Queue Servic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mazon SQS의 개요 … Read more

Amazon S3 스토리지클래스

안녕하세요. hyekihong입니다. 지난시간에는 Amazon S3에 대해 전체적으로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시간에는 Amazon S3의 스토리지클래스 각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지난시간이 궁금한 분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Amazon S3 알아보기 Amazon S3 스토리지클래스(Storage Class)란? Amazon S3 스토리지클래스(Storage Class)는 Amazon S3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에 사용되는 다양한 스토리지 옵션입니다. Amazon S3 Storage Class는 데이터의 액세스 요구 사항, … Read more

Amazon S3 사용사례 버킷 객체 보안 스토리지클래스

안녕하세요. 지난시간에는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EC2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AWS EC2 알아보기 이번 시간에도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인 Amazon S3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mazon S3란? Amazon S3는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로, AWS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Amazon S3는 데이터 저장, 관리 및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확장 가능한 객체 스토리지를 제공합니다. S3는 클라우드에서 … Read more